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노후 생활이 걱정되시나요?
65세 이상 어르신이라면 정부에서 매달 최대 150만 원 이상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많은 분들이 집이 있으면 안 된다, 자식이 잘 살면 못 받는다고 오해하시지만,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기초연금,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각종 요금 할인 혜택까지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제도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👉 기초연금 신청 자격 확인하기
👉 생계급여 신청 절차 알아보기
👉 복지 혜택 통합 안내 바로가기
매달 최대 70만 원! 기초연금 혜택 요약
-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
- 소득인정액 기준 충족 시 수급 가능
- 1인 가구: 월 220만 원 이하
- 부부 가구: 월 352만 원 이하 - 거주 주택은 1억 3,500만 원까지 재산 공제
- 자녀 소득은 무관 – 본인과 배우자 기준만 심사
- 국민연금과 중복 가능 – 일부 또는 전액 수령 가능
- 수령 금액: 최대 월 32~35만 원 (부부 동시 수령 시 각각 28만 원)
집이 있어도 생계급여 가능? YES!
- 생계급여는 최저 생계비 보장 제도
- 2025년 기준 소득 요건:
- 1인 가구: 월 71만 원 이하
- 2인 가구: 월 120만 원 이하 - 재산 기준: 일반 재산 3,200만 원, 금융재산 2천만 원 이하
- 주거 주택은 최대 1억 3,500만 원 공제
- 자동차 150만 원 이하는 재산으로 불인정
-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– 대부분 수급 가능
- 기초연금과 중복 수급 가능 – 단 일부 감액 가능
자주 하는 오해 바로잡기
- ❌ “집이 있으면 못 받는다” → 주택 공제로 대부분 가능
- ❌ “자식이 고소득이면 안 된다” → 자녀 소득은 무관
- ❌ “한 번 탈락했으니 끝이다” → 재신청 가능, 기준 완화 중
신청 방법은 간단합니다
- 신청처: 주민센터, 국민연금공단, 복지로, 정부24
- 필요 서류: 신분증, 통장 사본, 배우자 금융 정보 제공 동의서
- 신청 시기: 만 65세 생일 한 달 전부터 가능
- 처리 기간: 약 30일 이내, 이후 매달 20일 통장 입금
함께 받으면 더 좋아요! 추가 혜택 총정리
항목 | 혜택 내용 |
---|---|
의료급여 | 외래진료 1,000~2,000원 / 입원비 감면 |
주거급여 | 월 최대 32만 원 전세·월세 지원 |
교육급여 | 손자녀 교재·급식·학용품 등 지원 |
요금 할인 | 전기, 가스, 통신, 대중교통 등 절감 |
에너지바우처 | 여름 전기 / 겨울 난방비 지원 |
요약 정리
- 기초연금 + 생계급여 중복 수급 가능
- 집이 있어도, 자녀가 잘살아도 수급 가능
-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너무 많음
- 주민센터 신청 가능, 공무원 도움 가능
이 글을 부모님께 공유해보세요!
몰라서 혜택을 못 받는 어르신들이 너무 많습니다.
포기하지 말고 꼭! 직접 신청하세요.
★ 복지는 ‘신청한 사람’만 받을 수 있습니다.
모두가 더 나은 노후를 누릴 수 있도록 함께해요!
반응형